‘민심이 천심’임을 가장 잘 파악하고 깨달아 백성을 하늘처럼 섬긴 성군은 세종이라고 역사와 역사가는 한 목소리로 말해왔다. 백성으로부터 세금 부과를 결정하는데 무려 17년, 세금 납부의 주체인 백성에게 먼저 의견을 묻고 전문가와 숙의하고 끝없는 수정과 타협을 넘어 백성을 위한 합당한 지도자의 값진 고뇌의 시간이었다.

부천시의 계획과 그 일정에 의하면 문화예술회관(이하 ‘문예회관’으로 약칭)을 2018년 12월 중에 건축을 시작하는 것으로 홍보하고 있다. 물론 전임 시장 시절의 일방적 결정이었다. 부천시의 재정 부담이 98%이상인 1,000억원이 넘는 막대한 비용으로 시 청사 안에 건립한다는 것이다. 시민의 세금이고 열악한 부천시의 재정으로 충당해야 한다. 문제는 이러한 사실을 시민이 얼마나 알고 있을까?

설문조사의 가장 중요한 질문 항목은 어디에 얼마의 재정이 필요한지가 반드시 포함해야할 사항이다. 그보다 과연 얼마나 많은 관객인 시민이 이용할 것인지가 우선 결정되어야 하고 그 후 그에 필요한 관람석을 비롯한 부대시설도 연쇄적으로 설계에 포함될 중요한 요소다. 특히 관람객이 수익에 근간을 이룬다면 보다 면밀한 사전 조사와 관람 수요는 물론 그 수준에 맞는 컨텐츠는 기본이고 구성에 맞추어야 하는 것은 기본이다.

문예회관 건축을 사전에 부천시민에게 소상하게 알리고, 의견을 묻고 수렴했는지도 궁금하지만, 지금 문화 예술의 커다란 트렌드는 수요자 중심이고, 문화 예술을 통한 수익 창출은 전혀 기대할 수 없다는 것이 문화예술계의 오래된 정설이다. 물론 공직자는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했다고 하겠지만 재정부담은 온전히 시민의 몫이다.

부천은 수도권에 인접한 도시이면서 배드타운으로서의 기능적 요소가 짙다. 주변 인접 도시인 일산, 고양, 인천광역시 등은 오히려 부천시보다는 문화예술에 대해서는 앞서는 부분과 경험을 비롯해 많은 노하우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수요자가 기본으로 구축되고 공급자가 두텁게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더구나 7호선의 개통으로 수도인 서울과의 교통도 편리해졌다.

시민이 주인이라면 시장님 곁의 시민이 잘 모르고 바라지 않는 예술회관건립은 깊은 고려를 해봐야 한다. 지난 의회가 결정한 사항이라고 해서 강행한다는 것은 구시대적 발상이고 적폐의 표본이다. 시대가 변하고 상황이 바뀌는 것도 예측하지 못한 당시의 결정이라는 이유로 강행해야한다면 그 조차도 다시 한번 지금의 상황을 시민에게 물어야 옳다.

재정의 근원인 세금은 주체가 시민이며, 공금이라는 이유로 쓰기위해 걷은 세금이므로 마구 써야한다는 단순한 발상은 돌아봐야 할 공직자의 능동적 의무이고 숭고한 책임이어야 한다. 건축물은 오래 남는다. 먼 훗날 잘못된 흉물이라는 오명은 공직자로서의 사람은 가도 건물은 남는다.

흔히 공직의 특성은 시민을 위해 재정을 합리적으로 세우고 과학적인 사용을 도모할 의무와 책임이 있다고 한다. 새로운 시장은 ‘내 곁의 시장’이고, ‘민생은 확실하게’하겠다는 시의회 의장의 슬로건을 기대하면서 어려워지는 시민의 삶에 더 이상은 부담과 불편을 주지 않기를 바란다.

재배포를 환영합니다. 사진 및 글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 저자에게 문의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