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2일 가톨릭대학교 김수환관 3층 컨퍼런스룸에서 ‘2019 부천청년정책포럼’(이하 청년포럼)이 열렸다. 부천시에서 주최하고 부천시 청년정책협의체, 가톨릭대학교 총학생회에서 주관한 이번 포럼은 여선웅 청와대 청년소통 정책관의 축사로 시작해 관심을 끌었다.

 

 청년포럼은 1부와 2부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1부에서는 4명의 청년 정책 스피커들이 청년의 입장을 대변하고 각각의 청년 주제에 맞춰 앞으로의 가능성과 청년세대 불편함, 과제 등에 대해 발표하였고, 2부 오픈테이블에서는 앞선 스피커 전효관 좌장과 5명의 토론자가 지방정부 청년정책의 방향을 주제로 토론을 이끌었다.

 첫 번째 스피커 발표자 전효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사무처장은 청년들을 위한 장이나 커뮤니티 활동을 할 수 있는 사회적 장치가 없다고 말하며, 정부의 고용정책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자발적 움직임을 기존의 질서에 대한 당사자들의 논의를 열고 그 안에서 문제를 재구성해야 된다고 말했다. 또한 지역 차원에서 행정과 민간 사이의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구조를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김선기 ‘청년팔이 사회’ 저자는 정치적, 상업적 목적을 위해 청년 계층이 팔린다고 말하며 청년 계층이 기존의 잘못된 가치 체계들로 소비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청년이 ‘라벨링’되어 청년 연령대에 부정적인 선입견이 만들어진다고 말하였다. 청년이 떳떳하지 못하고 주눅든다는 인터뷰 사례를 예로 들며 청년을 특수한 계층으로 취급하는, 청년의 속성을 정의하는 일반화의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였다.

 김희성 서울시청년시민회의 운영위원장은 부천시에서 청년정책협의체가 만들어지고 기본계획 수립과 시행계획이 준비되는 과정에서 서울의 사례를 예로 들어 부천시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자신의 과정과 경험을 발표하였다.

 문유진 무중력지대 양천 센터장은 관계와 경험을 지원하는 청년 센터 만들기를 주제로 현장에서 부딪히며 센터를 운영한 경험을 이야기하였다. 정책 소비자에서 생산자로 활동,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활동, 지역사회 정책 거버넌스 참여, 지역사회 축제 참여 등의 경험을 바탕으로 무중력지대와 같은 청년공간이 청년들에게 정책을 전달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하였다.

 

현실감 있는 청년 정책이 필요, 자기 효능감 중요

 2부 오픈테이블에서는 앞에서 발표한 스피커들과 김현목 가톨릭대학교 총학생회장, 김현석 부천시청년정책협의체 사회참여 분과장이 오픈테이블에 앉아 토론을 진행하였다. 현장에서 이루어진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의견수렴을 하였고 각 의견에 대해 토론자들이 답변하였다.

 김현목 총학생회장은 부천시 5개 대학교 학생들의 주거 환경 개선사업을 해야한다고 주장하며 대학생으로서의 청년문제를 바라보았다. 열악한 거주 환경에서 거주하는 대학생들을 위해 시차원의 지원을 요구하였다.

 한편 김현석 분과장은 ‘자기 효능감’을 느낄 수 있는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고 말하였다. 청년들의 저조한 참여는 청년들이 자신의 역할을 찾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말하면서 위원회, 자문위원회에 청년을 배정하여 파격적인 정책 예산과 결정권을 줄 것을 강조하였다.

 한 참가자는 청년 정책 포럼에 처음 참가했다라고 밝히며 “청년을 대학생으로 한정하는 것 같다.”라고 말하며 청년 세대 전체에 대한 고려와 취업을 준비하는 여러 계층을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SNS를 통해 이 포럼을 알고 참가했다는 한 참가자는, “노인이나 아동 계층에 대한 지원에 비해 청년 계층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다.”면서 “청년 지원 정책이나 플랫폼이 늘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부천에 대학생이 많고 유동인구 또한 많은데 청년 정책이 거주 여부를 기준으로 제한적으로 실행된다며 부천의 정책 기준을 다양하게 확장해야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재배포를 환영합니다. 사진 및 글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 저자에게 문의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