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문제연구소 부천지부의 설립과 활동 9

앞서 우리 부천지역에는 친일파 박제봉이 있고, 박제봉이 살았던 집과 무덤이 있어 이를 중심으로 다른 지역은 어떻게 일제 잔재 청산을 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다른 유형의 일제 잔재에는 어떠한 것이 있을까요?

 

첫 번째, 노래비를 중심으로

충북 제천시에 유명한 박달재 고개가 있습니다. 박달재는 봉양읍과 백운면을 갈라놓은 험한 고개로 박달도령과 금봉낭자의 애절한 사랑 이야기가 전설로 내려오고 있습니다. 이를 모티브로 하여 반야월은 1950년에 <울고 넘는 박달재> 노래를 만들었습니다.

반야월(1917~2012)은 본명이 박창오로 1942<결전 태평양>, <일억 총진군> 등의 군국가요를 작사하였으며, 1942<일억 총진군>, <조국의 아들-지원병의 노래>, 1943<고원의 십오야>를 노래 불렀습니다. 반야월은 20106월 국회 간담회에서 친일 행적에 대해 공식 사과하였으며, 민족문제연구소 충북지부 제천단양지회와 제천의병유족회가 협력하여 20163월 노래비 옆에 단죄비를 세웠습니다.

 

 

두 번째, 동상을 중심으로

경남 거제도에는 포로수용소 유적공원 안에 <김백일 동상>이 있습니다. 김백일 동상은 2011527일 거제시와 흥남철수작전기념사업회가 함경남북도 중앙도민회, 창원보훈지청의 후원을 받아 세워졌습니다.

김백일(金白一, 본명 김찬규(金燦奎), 1917~1951)은 일본 괴뢰정권인 만주국군 소위, 항일무장독립군 탄압을 목적으로 설립된 간도특설대 창설·대위를 지내면서 항일무장 독립군부대를 공격하고 일제의 침략전쟁에 적극 협력하였으며 일제로부터 훈장까지 받은 특급 친일파입니다.

거제시민단체연대협의회는 제막식 뒤에서야 그 사실을 알게 되었으며 동상 철거 운동을 전개하였습니다. 하지만 거제시는 법원의 결정이므로 철거할 수 없다고 하여 시민단체연대협의회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한 2019'김백일 친일 행적 단죄비를 세웠습니다.

 

세 번째, 사업을 중심으로

경기도는 3.1운동 100주년을 맞이한 2019년도에 경기도 지역의 친일 문화 잔재를 조사하여 향후 친일 청산의 길잡이로 활용하려는 목적으로 <경기도 친일 문화 잔재 조사 연구 용역>을 실시하였습니다.

사업은 친일 인명사전에 수록된 경기도 지역 친일 인물 조사, 경기도 내 산재한 친일 재산과 소재 조사, 친일과 관련된 시설, 건축물, 기념비, 동상 등의 친일 관련 조형물 조사, 일제 시기 만들어져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는 교가, 기념행사 등 무형의 잔재 조사, 지방 행정구역 개편을 통한 일제식 지명 개칭의 유형과 현재까지의 잔존 여부 조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종합적인 조사와 연구를 시행하였습니다. 또한 이 사업은 여기에 머무르지 않고 후속 조치로 아카이브를 구축한 한편 문화총무과와 경기문화재단에서는 2020년부터 매년 경기도 친일 잔재 청산 공모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우리 민족문제연구소 부천지부는 2020년에는 독립운동가와 친일파의 삶을 비교한 <웹툰 한 시대, 다른 삶’>을 제작하여 경기도 관내 2,400여 개 초중고에 도록을 보내 학교 내 도서관에 비치하였으며, 부천지부 홈페이지(minjok21.kr) 게시하여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2021년에는 경기문화재단의 2021 문화예술 일제 잔재 청산 및 항일 추진 공모사업에 지원하여 <생활 속 항일 음악 음원> 12곡을 제작하여 경기도 관내 학교 무료 배포하여 학교 종소리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외에도 친일 잔재 상징물 안내판 설치 사업 안내문 작성 및 자문. 7개소 안내 문안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경기도는 홈페이지에 역대 도지사의 친일 행적을 표시하였습니다. 1대 구자옥, 2대 이해익, 6대 최문경, 10대 이흥배가 바로 그들입니다.

 

 

! 그렇다면 우리 부천시에서는 어떠한 방법으로 일제 잔재를 청산할까요?

다음과 같은 정책 제안을 합니다.

첫 번째, 부천시 차원에서 <일제 잔재 청산위원회>를 만들어 조사 연구해야 합니다.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부천에 남아 있는 항일 독립운동과 일제 잔재를 발굴해야 합니다.

두 번째, 일제 잔재가 위치한 자리에 안내판을 설치하여 시민들이 알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부천역 남부에는 <소사역 하역노동자 동맹파업><계남면사무소 습격 사건> 안내판이 2018년 경기문화재단에 의해 만들어져 있습니다. 현재 심곡도서관이 자리 잡고 있는 곳은 소사신사가 있었던 자리이며, ) 소사구청은 일흥사가 자리한 곳입니다. 부천시 차원의 조치가 필요합니다.

세 번째, 시민들과 학생들이 알 수 있도록 지속적인 강연과 수업을 지원해야 합니다.

부천시는 미래 교육센터를 세워 부천형 미래 교육 정책 및 의제 개발, 교육자원을 활용한 교육활동 연계시스템이 구축되어있습니다. 부천의 역사를 통해 문화, 사회, 예술을 함께 이해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야 합니다.

네 번째, 디지털부천문화대전 홈페이지에 실려있는 역곡동 고택에 친일파 박제봉이 살았던 집이라고 함께 적시해야 합니다.

경기도에서 홈페이지에 친일파 경기도지사를 표시한 것처럼 부천시에서도 역곡동 고택에서 친일파 박제봉이 살았다는 내용을 함께 넣어야 합니다.

 

| 박종선(민족문제연구소부천지부장)

재배포를 환영합니다. 사진 및 글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 저자에게 문의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