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부천비상행동 ‘1.5비상비상’

음식물 손실과 폐기물의 위험성

세계적으로 음식물 생산의 약 30%가 농장, 트럭, 냉장고 등 생산과정의 여러 단계에서 낭비되고 있다. UN 환경 계획(UNEP)‘2021년 음식물 쓰레기 지수 보고서에 따르면 이 같은 음식물 손실은 식품이 슈퍼마켓에 도착하기 전에 발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생산되는 식품의 약 15%가 수확이나 도축 중에 손실된다고 한다.

식품 폐기물이란 소매점, 식품 서비스 또는 가정 수준에서 사람들이 소비하지 않는 식품이나 식품의 먹을 수 없는 부분을 버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 폐기물은 매립지로 보내지거나, 퇴비 또는 동물 사료로 쓰이는데 음식물 쓰레기는 주로 매립지로 보내지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해되면서 메탄과 같은 온실가스를 생성한다.

 

기후 문제로 떠오르는 음식물 쓰레기

식품을 생산하는 데는 상당한 양의 토지와 물과 에너지가 필요하며, 이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은 전 세계적인 기후 변화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UN 식량농업기구2023년 연구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온실가스는 전체 배출의 절반을 차지하며, 2017년 전 세계가 배출한 93억 톤(이산화 탄소 환산 기준)은 미국과 EU의 온실가스 총배출량과 거의 같은 수준이다.

음식물이 매립지에서 분해되면서 생성된 메탄은 지구 온난화에 기여한다. 그뿐만 아니라 식품 생산과 관련된 모든 자원 사용은 환경 문제를 일으키며, 특히 식품이 슈퍼마켓 선반이나 소비자 냉장고에 도달한 후에도 폐기물로 이어지면서 더 많은 자원이 소비된다.

식품 손실과 폐기물로 인한 탄소 배출은 기후 변화뿐만 아니라 생물다양성 감소와 같은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숲이나 야생 초원의 파괴를 불러온다.

 

2017년 캐나다 온타리오 주 남서부 램턴 해안 지역의 농장에 버려진 양파
2017년 캐나다 온타리오 주 남서부 램턴 해안 지역의 농장에 버려진 양파

 

세계적인 대안 및 도전 과제

전 세계적으로 식품 손실을 막고 폐기물을 줄이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여기에는 식품 생산과 소비의 효율적인 관리, 자원 절약적인 기술의 채택, 소비자 인식의 증대, 그리고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하지만 경제적 요인, 정책적 어려움, 그리고 개인의 책임 등 다양한 과제가 산적해 있어 결코 쉽지는 않다.

 

음식물 손실과 폐기물 처리를 위한 노력

한국은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위한 다양한 방법과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2013년부터 시행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는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기 위해 도입한 제도로, 자신이 버린 만큼의 음식물 쓰레기에 비용을 부과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배출량을 계측하고 비용을 산정하기 위한 무선주파수 인식 RFID 기반 배출시스템을 도입했다.

2017년부터는 '혐기성 소화 공법'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연료로 활용하는 방법을 도입하고, 2022년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화와 퇴비화를 줄이고 바이오가스화를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등, 음식물 쓰레기의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처리를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노력도 음식물 쓰레기 자체를 줄이는 것만은 못하다. 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대한민국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은 2020년 기준, 전국에서 매일 약 470만 톤이 발생하는데 이는 2016년의 345배에 해당하는 엄청난 양이다.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국가적 정책과 더불어 지자체별 특성에 따라 체계적인 기준과 감량 목표를 세우고 목표 달성 여부에 따라 인센티브 또는 불이익을 지급하는 등 엄격한 관리 감독이 필요하다.


영국과 유럽연합은 특정 제품에 대해 ‘best before(식품권장기간)’ 문구를 삭제하는 등 일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최근 업소에 대한 음식물 쓰레기 신고 의무화가 폐지되어 전문가들의 비판을 받고 있다.
미국은 음식물 쓰레기가 증가하고 있어 일부 주에서는 음식 기부에 대한 세금 감면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의회는 음식 기부를 보호하기 위한 법안을 승인했으며 2030년까지 음식물 쓰레기를 절반으로 줄이기 위한 법안을 제안했다.
중국 정부는 음식물 쓰레기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이를 줄이기 위한 클린 플레이트 캠페인을 시작했으나 보다 구체적인 목표와 양적 목표가 필요하며, 이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김성재(기후위기 부천비상행동 활동가)

 
재배포를 환영합니다. 사진 및 글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 저자에게 문의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