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길목에서'

갓 벤 풀에서 지리산 뱀사골 고향 냄새가 묻어나온다. 그 향내는 아련히 묵혀 두었던 그리운 입맛을 생각나게 한다.

70년대, 가난은 누구나 겪어야 하는 삶의 일부분이었다. 쌀이 귀해 밀가루 한 포대로 여름을 날 때도 많았는데 그나마 감자가 있어서 배고픔을 덜던 시절이었다. 그 시절 콩밭에서 자란 싱싱한 열무는 시골 농가에 없어서는 안 될 귀한 작물이었다.

어머니는 그 콩밭에서 자란 열무로 김치를 담그셨다. 한여름 뙤약볕을 등에 업고 밭에서 금방 딴 홍고추, 제피에다 삶은 감자와 식은밥 한 덩이를 넣고 돌확에 고추가 걸쭉해질 때까지 북북 쪼개듯 간 다음 열무와 버무리면 양념이 어우러져 착 안기는 맛이 일품이었다. 배도 출출하고 먹을 게 별로 없던 시절, 열무김치가 완성될 때까지 우리 육 남매는 자리를 뜨지 않았다. 특유의 제피 향에 입으로는 아휴 매워를 연발하면서도 먹고 또 먹었다.

그로부터 십 년 후 고향을 떠나 대전으로 이사를 했다. 하지만 어머니는 옛 맛을 잊지 못하고 가끔 큰집에서 제사를 모시고 오는 날 다른 건 몰라도 남원 콩밭 열무를 머리에 이고 오셨다. 다 같은 채소인데 뭐 그리 대단한 것이라고 궁색하게 사 들고 오시는지, “열무가 다 똑같지, 남원 열무라고 별다를까라며 결혼 전까지도 뱀사골 열무김치에 대한 어머니의 극성스러운 집착을 이해하지 못했다.

세월이 흘러 내가 어머니의 나이가 되어서야 비로소 철모른 시절 볼멘소리하며 투정 부렸던 마음이 후회되었다.

 

고향 뱀사골에서 바라본 지리산 천왕봉
고향 뱀사골에서 바라본 지리산 천왕봉

 

유년의 여름방학은 벼가 익어 갈 무렵 논두렁에서 참새를 쫓으며 지냈다. 점심으로 싸 온 열무김치와 보리밥 한 덩이로 배고픔을 잊었던 추억이 생각난다. 지금도 잘 익은 김치의 향내는 그 시절을 소환해 준다. 약간 거칠고 걸쭉한 국물이 소박한 고향 맛이다. 또한, 시원하게 익은 김칫국물을 넉넉히 부어 국수나 즉석 냉면을 말아 먹어도 그만이다.

요즘은 사계절에 다 열무가 나온다. 겨울 지나고 봄이 오니 김장 김치에도 슬슬 싫증이 난다. 시장에 나가 열무 한 단을 사서 김치를 담그며 그때 우리 육 남매의 밥상에 함께 올라왔던 어머니의 정성과 사랑을 떠올려 본다. 내가 지금 이 자리에 있는 것은 혼자 저절로 된 것이 아니다. 시각과 후각, 미각 등 모든 감각을 통해 옛 기억을 되살리게 하는 어머니의 자식 사랑 맛. 다시는 느낄 수 없지만, 동생들과 콧물을 훔치며 먹었던 그 시절, 추억의 뱀사골 열무김치가 그립다.

 

손도순(부천시 인생이모작지원센터 상담사)

손도순 상담사
손도순 상담사

 

재배포를 환영합니다. 사진 및 글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 저자에게 문의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