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사무감사 첫날인 4일, 도시교통위원회(위원장 박병권) 소관인 도시국 행정감사가 의회운영위원회실(?)실에서 열렸다. 도시국은 부천시의 공간을 디자인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업무를 총괄하는 곳으로 도시계획과, 도시정책과, 토지정책과, 부동산과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국은 그 업무의 특성상 도시의 가치와 시민의 행복을 물리적인 구조로 환원하여 개발을 통한 도시의 발전을 추진한다.

▲ 도시교통위 도시국 행정감사 모습 - 사진제공 부천지역언론연대

이 날 박동정 도시국장은 대장동 산업단지 개발과 부천종합운동장 역세권 융복합 개발, 상동영상단지 개발, 오정동 군부대 개발 등 굵직한 부천의 개발사업에 대한 자료집 보고와 도시교통위 의원들의 시정질의에 답변 했다.

▲ 박동정 도시국장

그린벨트 해제에 총력
첫 질의에 나선 박홍식 의원은 대장동 국가산업단지 추진에 대한 계속여부를 물었다. 이에 대해 박 국장은 현 장덕천 시장이 전임 시장의 개발 방향을 이어간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말했다. 다만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등의 정책기조에 따라 국가산업단지 지정은 어려울 듯 하다고 말을 이었다.
한편 박홍식 의원은 “대장동 산업단지 유치에 부천의 미래가 달려있다며 그린벨트 해제에 필요한 행정에 의회도 적극 동참할테니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당부했다.

 현재 대장동 산업단지는 사업자선정을 마치고 그린벨트 해제 딘계를 밟고 있다. 부천은 6.13 지방선거에서 여당인 민주당 정치인들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따라서 대장동 산업단지 개발을 위한 그린벨트 해제쯤은 문제가 없을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정부의 정책기조에 따라 제동이 걸리면서 그린벨트 해제가 18개월 동안 연장된 상태다.

기피시설은 그린벨트 해제를 위한 전략
한편 박명혜 의원은 “대장동이 친환경 산업단지인데 거기에 공공주택과 화물차 쉼터, 물류단지, 차고지까지 다 들어갈 예정이지요?”라며 질문을 던졌다.
이에 대해 박 국장은 스스로 기피시설이라 지칭하며 “그런 기피시설이 대장동 같은 중요한 위치에 들어서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판단하나, 그린벨트 해제에 막대한 지장이 초래된다고 하면 일정부분 정부의 그런 기피시설을 유치해서라도 정부정책에 호응을 얻겠다는 취지”라고 말했다. 박 의원은 “본 의원이 지적하는 부분도 그 부분”이라며 “시에서 의도하는 것과 시민들이 요청하는 것 그리고 국토부에서 요청하는 기피시설들을 포용해야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박명혜 의원

시민사회단체와 선긋기
.한편 박 의원은 “단순히 환경은 보존하고 개발은 반대한다는 찬반프레임을 벗어나서, 시민들이 환경적으로 녹지나 비오톱, 습지 등 친환경적인 것이 들어서면서 산업단지가 어떻게 구성되고, 행복주택이 들어오면서 주거환경이 어떻게 개선되는지에 대한 플랜을 시민들이 알고 있어야 대장동 개발이 우리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수 있다”고 말하며.  “현재는 그린벨트 해제라는 문제를 풀지도 못했는데 잘못된 정보나 격화된 감정들로 구체적인 실사를 얻지 못할까 우려됩니다. 해서 오늘을 시점으로 18개월이라는 기간 동안 그린벨트 해제를 위한 부천시만의 전략 그리고 발전과 균형이라는 부분에 있어서 특별한 고민이 필요한데요. 행정부뿐만 아니라 시민사회단체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영역과 역할들이 있습니다. 그런의미에서 시민사회단체와 전문가들이 함께 머리를 맞댈 수 있는 TF나 전략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하며 이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박 국장은 답변에서 “이미 전문가들로 구성된 전문가집단이 있고요 전문가집단과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추진기획단이 있어서 수시로 주민들과 접촉하면서 다양한 여론을 듣고 있습니다. 그래서 말들이 많은 그런 프레임에 갇혀서 좋은 기회를 잃는, 원래 추구하려고 했던 방향에서 벗어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의견을 피력하며 시민사회단체와 선을 그었다.

대장동 주민의 요구 최대한 수용
   대장동 개발과 관련해서 토지수용에 따른 보상이 아닌 환지를 해주겠단 얘기가 있었냐는 이상열 의원의 질의가 있었다. 박 국장은 답변에서, 대장동 산업단지 개발과는 별도의 도시계획사업으로 안동네를 연계 개발하기 위해 토지를 환지하는 방식으로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그동안 방치하면서 피해를 본 사례도 있고 해서 주민이 요구하는 수준에 맞추진 못하지만 최대한 배려”라고 말했다.

재배포를 환영합니다. 사진 및 글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 저자에게 문의바랍니다.